적정주가 계산법 여러분이 매수하고 싶은 기업의 주가가 저렴한 가격인지, 혹은 비싸게 형성되어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선 투자지표와 적정주가 계산법이 필요합니다. 주식 지표인 ROE, PER, EPS를 활용한 적정주가 계산법은 앞전에 소개해드렸죠. 해당 포스팅은 본문 하단에 링크로 남겨놓을 테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오늘은 기존에 소개된 적정주가 계산법보다 약간 번거로운? 공식을 가지고 있는 계산법으로 사경인 회계사님이 개발하신 S-RIM 적정주가 계산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S-RIM 예전에 주식 초보들을 위한 서적으로 추천드린 '재무제표 모르면 주식투자 절대로 하지마라'의 저자인 사경인 회계사님. 초보분들이 재무제표에 관심을 가지고 계신다면 추천드리는 책입니다. 책에서는 재무제표를 통해 여러분의 자금이 ..
적정주가 해당 기업의 주식을 적절한 가격에 매매하기 위해서는 적정주가를 알아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사항이기도 하고, 적정주가를 구하는 공식은 정말 다양합니다. 성공한 투자자는 해당 기업이나 분야, 규모에 따라 각기 다른 공식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다양한 적정주가 구하는 공식에 대해서 터득하고, 이해하고 있는 것이 훌륭한 투자를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ROE 특징과 ROE와 EPS를 활용한 적정주가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OE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자본이익률이라고 불리거나, 투자대비수익률이라고도 말합니다. ROE는 많은 주식 관련 서적에서도 언급하는 지표인데, 기업의 성장률을 파악할 수 있는 훌륭한 지표입니다. ROE = ..
적정주가 계산법 내가 거래하고자 하는 기업의 현재 주가를 보고, 싼 건지, 비싼 건지 파악할 수 없는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혹시나 샀다가 물리진 않을까 걱정하면서 말이죠. 물론 단타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기술적 분석을 통해 매매할 수 있지만, 재무제표와 회사의 가치를 따지는 기본적 분석을 통해 투자 의사를 결정하시는 분들이라면 적정주가를 빼놓을 순 없죠. 그래서 오늘은 간단하게 적정주가를 구하는 방법과 적정주가 계산에 사용되는 용어들의 특징들을 살펴보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해보겠습니다. PER PER은 Price Earning Ratio의 약자로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불립니다. 기본적 분석을 하게 되면 가장 흔하게 만나게 될 지표 용어 중에 하나입니다. 일단 PER 계산법을 살펴볼까요. 시가총액 = ..